작성일
2014.05.16
수정일
2014.05.16
작성자
김혜란
조회수
654

저변동성 이상현상과 투자전략의 수익성 검증

핵심내용:

본 연구는 한국거래소(KRX)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주식들을 대상으로 고변동성 주식이 저변동성 주식에 비해 낮은 성과를 보이는 저변동성 이상현상이 존재하는가를 검증하고, 이에 기반하는 투자전략이 유효한 초과수익성을 보이는지, 그리고 그 특성과 원인은 무엇인지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주식시장에서도 변동성이 가장 낮은 주식들로 구성된 포트폴리오가 가장 높은 주식들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에 비해 월평균 1.57%의 유의한 초과수익률을 얻는 것으로 나타나서 저변동성 이상현상이 유의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고변동성 뿐만 아니라 고왜도를 갖는 복권적 주식에 대한 노이즈 투자자들의 선호에 기인하는 과대평가 오류가 사후적으로 조정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논문 요약

 

□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는 주식수익률의 변동성(Vol), 고유변동성(IVol), 베타를 기준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에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저변동성 이상현상이 국내 주식시장에도 존재하는지, 이에 기반하는 투자전략이 유효한 초과수익성을 보이는지, 그리고 그 특성과 원인은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 199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주식들을 대상으로 주식수익률의 변동성, 고유변동성, 베타를 기준으로 각각 5개 포트폴리오를 매월 재구성하면서 변동성에 따라 수익률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분석한 결과, 고유변동성이 가장 낮은 포트폴리오(P1)를 매수하고, 고유변동성이 가장 높은 포트폴리오(P5)를 매도하는 헤지펀드 투자전략(P1-P5)은 전체 기간에서 거래비용 차감 후 월평균 1.57%의 유의한 초과수익률을 얻어서 국내 주식시장에도 저변동성 이상현상이 유의하게 존재하고 이에 기반하는 투자전략이 유효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 이러한 저변동성 이상현상에 기반하는 투자전략 수익성의 특성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고변동성 주식들에 대한 과대평가 오류가 사후적으로 조정되면서 저변동성 주식들보다 낮은 수익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변동성 주식들은 과거 수익률과 거래회전율이 높을수록 그리고 PBR이 낮을수록 미래 수익률이 높아지는 반면, 고변동성 주식들은 거래회전율이 높고 과거 수익률의 왜도가 높은 주식일수록 과대평가 오류가 발생하여 이것이 사후적으로 조정되면서 저변동성 주식들보다 낮은 수익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고변동성과 고왜도의 복권적 주식에 대한 노이즈 투자자들의 선호가 이들 주식의 과대평가 오류를 초래하고 이것이 사후적으로 조정되면서 저변동성 이상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붙임: Working paper 1부. 끝.

 

첨부파일